건축시공 파트 - 철근콘크리트공사 2 - 종류
요점정리 보는 방법!
- 기본 검정체로 작성한 글은 요약본
- 노란색 바탕면체는 추가적인 부가설명 (이해가 안되거나 어려운 부분은 말로 더 길게 설명해드릴게요!)
6. 종류
* 기후/환경
- 서중 콘크리트
: 일 평균 기온이 25도씨를 초과하는 경우에 시공되는 콘크리트
- 문제점
: 슬럼프 감소
: 콜드 조인트 (Cold joint) 발생
: 단위수량 증가
: 강도 및 내구성 증가
- 대책
: 표면활성제 사용
: 냉각수 사용
: 저열 시멘트 사용
: 골재 사전 냉각
- 한중 콘크리트
: 일 평균 기온이 4도씨 이하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
- 대책
: AE제 사용
: 조강 포틀랜드 사용
: 초기강도 5MPa 발현시까지 양생 (단열보온, 가열보온 양생)
* 재료
- AE 콘크리트
: 콘크리트에 AE(공기 연행제 : Air Entrained Agent)를 함입시켜 시공연도를 개량한 것
- 특징
: 수밀성 증가
: 동결융해 저항성 증가
: 워커빌리티 증진
: 재료분리 감소
: 단위수량 감소
- 쇄석 콘크리트
: 양질의 암석을 파쇄시켜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
- 특징
: 부착강도 증가로 콘크리트 강도 증가
: 시공연도 저하 (AE제 사용 / 굵은 골재의 크기 조금 작게 / 굵은 모래 사용)
- 경량 콘크리트
: 기건 비중 2.0 이하 , 단위 중량 1.4~2.0t/m3
- 종류
: 보통 경량 콘크리트 (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경량 골재 사용)
: 기포 콘크리트 (콘크리트 중에 무수한 기포를 함유하게 한 것)
: 톱밥 콘크리트
: 서모콘 (Thermo-Con)
(자갈, 모래 등의 골재를 사용하지 않고 시멘트와 물 그리고 발포제를 배합하여 만든 일종의 경량 콘크리트로서 물시멘트비는 43% 이하로 한다.)
- 중량 콘크리트 (차폐용 콘크리트)
: 중량 골재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차폐할 목적으로 만든 콘크리트
- 재료
: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, 혼합 시멘트
: 철광석, 중정석, 자철광, 철편 등 비중(3.0~4.0) 큰 골재사용
- 폴리머 콘크리트
: 시멘트 대신 Polymer (유기고분자 중합체)를 사용함으로써 시멘트가 갖는 늦은 경화, 작은 인장강도 , 큰 건조수축, 약한 내약품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만든 콘크리트
- 특징
: 단위 체적당 단가가 비싸다
: 고강도, 다양한 용도, 경량성, 내구성, 속경성의 경제성을 갖는다
: 단기에 고강도를 발현하고, 완전한 수밀성을 갖는다
: 난연성, 내화성은 좋지 않다 (열에 약함)
- 유동화 콘크리트
: 유동화제를 투입함으로써 종래의 반죽 정도의 단위 수량으로 높은 슬럼프의 묽은 반죽 콘크리트를 만든 콘크리트
- 종류
: 공장 첨가 유동화 콘크리트
: 운반 첨가 유동화 콘크리트
: 현장 첨가 유동화 콘크리트
- 섬유보강 콘크리트
: 콘크리트의 인장강도와 균열, 충격 저항성 등을 개선할 목적으로 콘크리트 내에 섬유보강재를 분산시켜 넣어서 시공하는 콘크리트
- 섬유보강재 종류
: 유리 섬유
: 석면 섬유
: 합성 섬유
: (탄소)강섬유
* 공법
- 레디믹스트 콘크리트
: 레미콘 공장에서 콘크리트를 제조, 운반하여 현장에서 타설되는 콘크리트
- 표시
: 골재 최대치수 - 호칭강도 - 슬럼프치 (ex. 25mm - 21MP - 12cm)
- 종류
: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 (Central mixed concrete)
믹싱 플랜트의 고정믹서에서 비빔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현장으로 운반
: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 (Shrink mixed concrete)
믹싱 플랜트의 고정믹서에서 어느 정도 비빈 것을 운반 도중에 완전히 비빈다
: 트랜싯 믹스트 콘크리트 (Transit mixed concrete)
트럭 믹서에 모든 재료가 공급되어 운반 도중에 비벼진다
-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
: Con'c의 인장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의 Prestress를 주어 인장강도를 증가하도록 만든 콘크리트
- 종류
프리텐션
: 강현재에 미리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넣고 완전 경화 후 강현재 단부에서 인장력을 푸는 방법
: 시공 순서 - 거푸집 설치 > 강현재 설치 > 긴장 후 정착 > 콘크리트 타설 > 양생 > Stress 부여
포스트텐션
: 콘크리트를 부어 넣기 전에 얇은 쉬스(Sheath)를 묻어 두고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쉬스 구멍에 강현재를 통하여 긴장 시키고 고정
: 시공 순서 - 거푸집 설치 > Sheath관 설치 > 콘크리트 타설 > 양생 > 쉬스관 내 긴장재 삽입 > 긴장 후 정착 > 그라우팅 > 양생 후 Stress 부여
- 정착공법
: 쐐기식 (Wedge system)
: 나사식 (Screw system)
: 루프식 (Loop system)
: 용융합금식
- 긴장재의 종류
: 피아노선
: PC강선
: PC강연선
: PC강봉
- 제치장 콘크리트
: 외장마감 처리를 하지 않고 타설된 콘크리트 자체가 최종 마감면으로 활용 되는 콘크리트
- 목적
: 공기 단축
: 재료 절감
: 경량화 및 단순미 구현
: 마감면을 고강도, 고품질의 콘크리트 활용
- 매스 (Mass) 콘크리트
: 부재 단면의 최소 치수가 80cm 이상이고, 콘크리트의 내부 최고온도와 외부 기온과의 차가 25도씨 이상으로 예상되는 곳에 쓰이는 콘크리트
- 대책
: Pre-Cooling (재료냉각)
: Pipe-Cooling (타설 전 Pipe 배관, 관 내 냉각수 순환)
: 저열 시멘트 사용
- 진공(Vacuum) 콘크리트
: 콘크리트가 경화하기 전에 진공 매트로 수분과 공기를 흡수하고, 대기의 압력으로 콘크리트를 다진 콘크리트
- 특징
: 조기강도, 내구성, 내마모성이 커진다.
: 건조수축이 적게 되므로 콘크리트 기성재 제조에 이용
: 진공 처리로 인해 물시멘트비가 적게 되며 표면의 공기구멍이 작게 된다.
- 쇼트 크리트
: 압축공기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분사하여 피복재를 형성하는 공법
- 종류
: 건나이트 (Gunite)
: 본닥터 (Bonductor)
: 제트크리트 (Jetcrete)
- 특징
: 밀착성 우수
: 수밀성, 강도, 내구성 우수
: 얇은 벽바름 녹막이에 유효
: 균열 발생 우려
: 다공질
: 건조수축 발생
- 프리팩트 콘크리트
: 거푸집 내에 굵은 골재를 미리 채워 넣고 그 사이에 특수 모르타르를 압력으로 주입하는 콘크리트
- 고강도 콘크리트
: 설계기준강도가 40MPa 이상, 경량콘크리트는 27MPa 이상인 콘크리트를 말한다.
- 고성능 콘크리트
: 고강도 콘크리트
: 고유동성 콘크리트
: 고내구성 콘크리트
- 폭렬현상
: 화재시 콘크리트 내부가 고열로 인하여 생성된 수증기가 밖으로 분출되지 못하여 생긴 수증기의 압력으로 콘크리트가 떨어져 나가는 현상
♥ 제 글을 읽고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남겨주세요 :) 다음 글을 쓸 원동력이 됩니다! ♥
'[건축,인테리어] > 건축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학도 슴다섯의 [건축기사 실기 요점정리-10] (0) | 2021.07.11 |
---|---|
건축학도 슴다섯의 [건축기사 실기 요점정리-9] (1) | 2020.10.12 |
건축학도 슴다섯의 [건축기사 실기 요점정리-7] (0) | 2019.06.05 |
건축학도 슴다섯의 [건축기사 실기 요점정리-6] (0) | 2019.05.22 |
건축학도 슴다섯의 [건축기사 실기 요점정리-5] (0) | 2019.05.21 |